연말정산이란?
연말정산은 한 해 동안 낸 ‘근로소득세’를 정산하는 과정이다. 직장인은 매달 월급에서 세금(근로소득세)을 미리 떼고 받는데 실제로 내야 할 세금은 연말에 한 번에 계산해보면 다를 수 있다. 그래서 1년 동안 낸 세금과 실제 내야 할 세금을 비교해 차액을 돌려받거나(환급) 더 내야 할 경우 추가 납부하는 절차가 바로 ‘연말정산’인 것이다.
왜 연말정산을 할까?
연말정산을 하는 이유는 ‘내가 내야 할 세금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서’이다. 월급에서 미리 떼는 세금은 예상세금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더 많이 냈거나 적게 냈을 수 있다. 연말정산을 통해 내야 할 세금을 다시 계산해서 정확한 금액을 정리하는 개념인 것이다.
연말정산은 어떻게 진행될까?
요즘은 전산을 활용해 처리하기 때문에 이전보다 서류를 발급해서 회사에 전달하는 절차가 아예 없거나 회사 자체 시스템을 이용해서 신고하기 때문에 특수한 경우의 서류만 필요한 경우가 있어 많이 간편해졌다. 그래도 여전히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아래의 절차와 비슷하니 참고바란다.
- 회사에서 연말정산 안내를 받고 관련 서류를 제출
회사에서 ‘소득공제 신고서’ 같은 서류를 주면, 의료비, 교육비, 보험료, 신용카드 사용액 등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을 적어 제출. -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활용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서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를 조회해서 회사에 제출. - 회사가 세금 계산 후 환급 또는 추가 납부 안내
회사에서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세금을 다시 계산해 환급받을 금액이 있으면 월급과 함께 돌려주고 부족하면 추가로 납부하게 된다
연말정산, 꼭 챙겨야 할 이유
연말정산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낸 세금을 돌려받지 못하거나, 반대로 세금을 더 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특히 퇴사하거나 이직한 경우 공제 항목을 빠뜨리기 쉽기 때문에 꼼꼼히 챙기는 것이 중요하다.
기타(환급액이 왜 없나요?)
잘 설명해도 환급이 왜 없냐고 하는 분들이 꼭 있다고 들었는데 그런 경우 이 개념을 명심하자.
자신이 낸 세금한도내에서 환급을 받는 것이다. 세금 낸게 거의 없는데 공제항목 많다고 환급 받는 게 아님을 꼭 알자.
<예시>
자신이 낸 세금:10만원
실제 내야 될 세금: 10만원
공제항목 상관없이 환급액 없다. 공제항목으로 20만원 받는 다고 해도 환급액이 없는 것이다.